Tuk`no

탁노

  • 작가소개 & 평론
    • [작가소개]

      Graduated from Hong Ik University

      Same a graduate school -dropping out of school

      2013 Gallery Aile Exhibition Invitation (Seoul)
      2013 KOREA art summer festival (Seoul)
      2012 Seoul modern art show (yangjae At center)
      2011 Gallery The K, Seoul
      2009 Seoul modern art show (Seoul Art Center)
      2008 gallery Wonju Culture Centre, Wonju
      2008 Gallery Yi Yung, Seoul
      2005 Gallery Ho, Seoul
      < International Art Show>
      2009 The 11THChinaShanghaiInternationalArtFestival
      2012 Exchange Exhibition of Korea, Japan, nude drawing (Irohani Gallery, Osaka)
      s writing>
      If you saw it you can draw it
      2008 IRICOS
       
      ----------------------------------


      [평론]
       
      AN ARTIST EXUDING A WILD ELAN VITAL
       
      Ever heard of the Tonglen method of meditation whereby one breathes clean air and drinks of a lofty spiritual fountain? Ever seen the noble sight of hundreds of people inhaling and exhaling the air in the solitude of the Himalayan highlands?
       
      Lo and behold their somber countenance as they breathe in the coarse energy of civilization and cleanse the universe by exhaling memories that had once been most
      sublime. In their memories they were wolves, eagles, and mustangs truly and purely
      wild. Mark the expression in their eyes signifying the power of cleansing and wild vitality, namely, the solitude of the wilderness.
       
      There in the place of wildness stands Tukno, anom de plumethat says "Drop it all." Implicit in his artworks is indeed a human going back to his place of birth rather than conforming to worldly norms. His rude brush purports wild energy. Indeed, it carries a wild story as it were. In the traces of his brushwork we find the untamed voice of a wolf and an eagle kicking about amid civilization redeemed. Like the wind refusing to get caught in a net, they both gallop away defying the rule of conformity.
       
      Paintings by Tukno betray no sense of hesitancy. In his works we detect no energy making a descent to compromise in the name ofusor blind collectivism whose touch will turn the world into a desert. Behold the lonely wolf staring at the desert. And behold the eagle casting a watchful eye on the camel always kneeling down before the world. Behold it gaze, scowling on our infirmity. If its keen eyes make your blood run cold, well, life on earth is still worth living.
       
      Is Tukno thirsty, perchance? There's nothing superfluous about energy he exudes from within. He draws pictures in a state of loneliness and thirst. That is perhaps why he is straightforward. He makes no detours, nor is he kind. He just smites our desert-like weakness, period. Like thehigh noon shadowthat actually offers no shadowto hide in. You only have your own naked body to smite and you must bare it in its entirety. That's why it hurts. For Tukno simply says, Are you a slave or a master?
       
      In the pain you feel lies your redemption. Why? Because you are embarrassed. A A A question posed straight through one's keratinized skin pores sounds awkward. However, in a world where the only thing that matters is efficiency, the embarrassment you feel serves as a stimulus to ascend. The belief that today is different from yesterday and that tomorrow will surely be so saves one's reality. And thus we return to the clean air and fountain of the Himalayan highlands.
       
       

      以野氣異野氣
      통렌을 아는가? 저 높은 공기, 저 높은 정신의 맑은 샘.
      히말라야 저 고산의 고독 속에서 수백명이 들숨과 날숨을 토해내는 그 숭고한 장면을 보았는가
       
      세상의 문명의 거친 기운을 들이쉬고, 가장 숭고했던 기억의 날숨으로 우주를 정화하는 그 엄숙한 모습을 보라. 그들의 기억 속에 그들은 진정 순정스런 야성의 늑대였고, 독수리였으며, 야생마였다. 그 눈빛을 보라. 정화의 힘이다. ‘野氣이다. 광야의 고독이다.
       
      野性의 자리에 탁노가 있다. ‘탁 놓아버리려는의미를 담고 있는 예명이다. 진정 세상에 순응하는 것이 아니라 태어난 처음으로 돌아가는 길일 터이다. 그의 붓터치의 거칠음은 야성의 기운이다. 그야말로 以野氣를 하고 있는 것이다. 그의 붓의 흔적 속에서 문명 속에 버팅기는 한 늑대를, 독수리를, 그 야성들의 구원을 본다. 순응의 질서가 아닌 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처럼 스스로 바람을 일으키며 달려간다.
       
      탁노의 그림에는 망설임이 없다. 그의 작품에는 우리라는 이름으로 타협해야 하는 하강하는 에너지, 집단주의의 맹목성이 없다. 그 집단주의와 닿으면 세상은 사막이 된다. 그 사막을 응시하는 고독한 늑대를 보라. 세상에 늘 무릎을 꿇는 낙타를 응시하는 독수리를 보라. 우리의 허약함을 노려보는 그 시선을 보라. 만일 당신이 그 눈빛에서 전율이 느껴진다면 아직 세상은 살아볼만 하다.
       
      목마름일까? 자신 안에 뻗쳐 나오는 그 기운에는 군더더기가 없다. 그는 고독과 갈증 속에서 그림을 그린다. 그래서인가. 직진성이다. 우회하지 않고, 친절하지 않다. 사막같은 우리의 허약함에 내리꽂는다. ‘정오의 그림자. 어디에도 숨을 그림자가 없다. 알몸으로 드러내고, 알몸으로 부딪치는 일이다. 그래서 아프다. 노예인지, 주인인지를 바로 묻기 때문이다.
       
      그 아픔에 구원이 있다. 부끄럽기 때문이다. 각질화된 모든 모공들을 뚫고 직선으로 묻는 일은 낯설다. 그러나 효율성만이 단일가치가 되어버린 현실에서 이 부끄러움은 상승의 자극이다. 어제와 오늘이 다르고, 내일은 분명히 다를 것이라는 믿음은 현실을 구원한다. 다시 높은 공기이고, 저 고원의 샘이다.
       
      서둘러라. 以野氣異野氣.
       
       
      이윤호 문화평론가
       
       
    텍스트펼침